728x90
📌 전송 계층
-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재전송을 요청한다.
-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한다.
-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기 위해 포트번호를 사용한다.
연결형 통신
- 통신할 때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한다.
- 통신 상대와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친다.
- 전송 계층의 연결형 통신에는 TCP가 사용된다.
비연결형 통신
- 통신할 때 신속성과 효율성을 중시한다.
- 통신 상대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통신한다.
- 전송계층의 비연결형 통신에는 UDP가 사용된다.
TCP
- TCP로 전송할 때 붙는 헤더를 TCP 헤더라고 한다.
- TCP 헤더가 붙은 데이터를 세그먼트(segment)라고 한다.
-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정확히 전송하기 위한 정보가 담겨있다.
- SYN(연결 요청)과 ACK(확인 응답)을 이용한 3-way handshake로 연결을 확립한다.
- 연결을 종료할 때는 FIN(종료 요청)과 ACK(종료 응답)을 이용한다.
TCP/IP 패킷 정보
- IP 패킷(TCP 세그먼트(전송데이터))
IP 패킷 : 출발지 IP, 목적지 IP...
TCP 세그먼트 :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전송 제어, 순서, 검증 정보...
UDP
- UDP로 전송할 때 붙는 헤더를 UDP 헤더라고 한다.
- UDP 헤더가 붙은 데이터를 UDP 다이어그램이라고 한다.
-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정확히 전송하기 위한 정보가 담겨있다.
- 빠른 속도와 효율성을 중시해 상대방과 연결을 확인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랜에 있는 다수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에 일괄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가 가능하다.
참고 :
모두의 네트워크 / 길벗
728x90
'넓고 얕은 네트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소창에 google.co.kr을 치면 일어나는 일 1분 요약 정리 (0) | 2023.02.13 |
---|---|
DNS 1분 요약 정리 (0) | 2023.02.13 |
서브넷(Subnet) 1분 요약 정리 (0) | 2023.02.13 |
OSI 7 Layer - 네트워크 계층 1분 요약 정리 (0) | 2023.02.12 |
OSI 7 Layer - 데이터 링크 계층 1분 요약 정리 (1)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