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장비로, 목적지 IP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한다.
-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다.
라우팅(routing)
-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보낼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라우팅 테이블
-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NAT(Network Acc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
- 공용 IP를 사설 IP로, 사설IP를 공용 IP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라우터에서 이를 지원한다.
- 쉽게 말해 사설 IP가 외부 사이트(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 예를 들면 외부 사이트에 접속을 요청할 때 요청을 보낸 사설 IP를 공용 IP로 변환하여 요청을 보낸다.
- 반대로 외부 사이트로부터 응답을 받을 때는 공용 IP로 응답을 받아 요청을 보낸 사설 IP로 다시 변환한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
-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컴퓨터 A와 B가 있다.
- A가 B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 A는 B에게 보내려면 어디로 데이터를 전송해야하는지 모른다.
- 그래서 일단 라우터(게이트웨이)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 라우터에서는 라우터 테이블을 참조하거나 주변 라우터에서 정보를 찾는 등 라우팅을 통해 B로 가는 경로를 찾는다.
- 라우터 간에 정보를 교환하여 통신할 라우터를 찾을 때 사용하는 규칙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 B의 라우터(게이트웨이)에서 데이터를 받아 내부망에 있는 B의 사설 IP로 전달한다.
-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할 때는 게이트웨이를 거쳐야 한다.
IP(Internet Protocol)
-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 IP와 IP 주소에 대한 설명
IP 패킷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할 때 IP헤더를 붙이며, IP 헤더 안에는 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 등이 담겨있다.
참고 :
모두의 네트워크 / 길벗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728x90
'넓고 얕은 네트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 전송 계층 1분 요약 정리 (0) | 2023.02.13 |
---|---|
서브넷(Subnet) 1분 요약 정리 (0) | 2023.02.13 |
OSI 7 Layer - 데이터 링크 계층 1분 요약 정리 (1) | 2023.02.10 |
OSI 7 Layer - 물리계층 1분 요약 정리 (0) | 2023.02.09 |
로드밸런싱 1분 요약 정리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