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구조2 init부터 merge까지 Git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 💡 지금껏 git init부터 브랜치 간의 merge까지 수백 번 넘게 경험하면서 단 한 번도 Git의 내부 동작이나 원리에 대해 궁금함을 가져본 적이 없었습니다. 이번 기회에 그 내부를 샅샅이 살펴보면서 Git에 대해 제대로 이해해보려고 합니다. 📌 Git의 일반적인 사용법 정도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선수 지식Git 내부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 및 개념입니다.아래 내용은 가볍게 읽어보시고, 실습 부분에서 이해가 안되시면 돌아와 해당 개념을 다시 읽으시면 보다 수월하게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 용어 정리🔸 HEADGit에서 HEAD는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의 마지막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를 말한다.가장 최신 커밋을 가리키고 있는 포인터인 .. 2025. 4. 30. 당신의 첫 프로젝트를 위한 스프링 시큐리티(4) - 로그인 테스트 및 JWT, redis 개념 정리 📌 이번 글에서는 지난 시간까지 만든 내용을 가볍게 정리하고, jwt 토큰 발급과 redis에 토큰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저의 스프링 시큐리티 구현은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합니다.- 프론트 엔드와 백엔드가 나뉘어 진행되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여 스프링 시큐리티 설정에서 로그인 페이지에 대한 설정을 따로 하지 않음- JWT 토큰 인증 방식을 사용함- 토큰 관리에 Redis를 이용함 🙉 이전 글 보기첫 번째 글부터 정독하시면 보다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https://suzuworld.tistory.com/438 - 당신의 첫 프로젝트를 위한 스프링 시큐리티 톺아보기이전 글https://suzuworld.tistory.com/441 - AuthenticationManager,.. 2024. 9. 8.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