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넓고 얕은 블록체인 지식

DAO(탈중앙화된 자율조직) 1분 요약 정리

by 팡펑퐁 2023. 5. 3.
728x90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특정 주체가 책임지는 것이 아니기에 대표할 수도 없고, 별도의 명령이나 관리가 필요 없는 조직으로, 블록체인의 탄생과 더불어 등장한 새로운 공동체의 형태를 말한다. 별도의 중앙화된 관리 주체나 그에 따른 위계질서 없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투명하게 정해진 규칙에 따라 구성원 모두가 자율적으로 공동의 의사결정에 참여해 목표 달성을 추구하는 조직이다.

 

 예를 들어 DAO 형태로 운영되는 플랫폼이 있다면 그 조직은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과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 2의 생산물을 만드는 사람, 또 그 생산물을 소비하는 사람 모두가 하나의 구성원이며 각자의 토큰을 가지고,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해진 규칙에 따라 투표와 표결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DAO의 장점

참여자의 주권 강화

  • DAO는 각 회원이 의결권을 가진다.
  • 거버넌스 코인 보유자에게 DAO에 대한 의결권을 부여한다.

이해관계 재정의

  • DAO는 조직과 구성원의 관계를 재정의하여 이해관계를 일치시킨다.
  • DAO 참여자는 주주인 동시에 직원이며 고객이다.

인센티브

  • DAO 사용자의 참여 및 행동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DAO의 단점

느린 의사 결정

  • 중앙화된 관리자 없이 다수의 회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며 비효율적이다.

책임 부재

  • 권한뿐만 아니라 책임 또한 분산되어있기 때문에 책임의 소재가 불분명하다.

금권 정치 변모 가능성

  • 토큰의 숫자로 의사 결정을 진행하게 되면 더 많은 토큰을 보유한 사람들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금권 정치로 변모할 수 있다.

규제 문제

  • DAO 조직과 관련된 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규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참고

https://m.upbitcare.com/academy/education/blockchain/24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