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리전(region, 지역)
- 전세계에 AWS의 데이터센터가 있는 물리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 전세계 곳곳에 리전을 만든 이유?
- 재해 발생 시 특정 지역에 데이터센터가 몰려있다면 데이터 영구 손실이나 서비스 공급 장기 중단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
- 리전이 한곳에 있다면, 리전으로부터 먼 곳은 서비스 이용 속도가 매우 느림(노드를 많이 거쳐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
가용 영역(AZ, Availability Zone)
- 데이터센터의 클러스터로 한 리전에는 여러 가용 영역이 있다.
- 한 리전 안에는 최소 2개 이상의 가용 영역가 존재한다.(2023.01월 기준 서울 리전에는 4개의 AZ가 존재한다.)
- 가용 영역 간에는 지연시간이 짧은 링크로 연결되어있어 마치 한 건물에 있는 것처럼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 빠르게 데이터를 백업하고 이전이 가능하다.
- 데이터 센터를 클러스터 형식으로 구성하는 이유?
- 각각의 다른 가용 영역의 장애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 한 AZ에 문제가 생긴다면 똑같은 서비스를 다른 AZ에서 공급할 수 있다.(무중단 서비스 제공)
- 한마디로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제공이 가능해진다.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웹 페이지 로드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상호 연결로 이루어진 서버 네트워크를 말한다.
- CloudFront는 AWS의 CDN 서비스로 .html, .css, .js 및 이미지 파일과 같은 정적 및 동적 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빠른 속도로 배포할 수 있게 지원하는 웹서비스이다.
- CloudFront를 이용하면 전세계 캐시 서버에 콘텐츠를 복사해두기 때문에 어느 위치에서 접근해도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다.
- CloudFront는 엣지 로케이션이라고 하는 데이터 센터의 전 세계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한다.
- 한마디로 엣지 로케이션은 CloudFront의 캐싱 콘텐츠가 위치하는 곳이다.
- 구조
- End Point(사용자) - Edge Location - Original Data
728x90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게이트웨이, NAT 인스턴스, 베스천 호스트에 대하여(VPC 내 사설망이 안전하게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 (0) | 2023.02.14 |
---|---|
EC2 인스턴스 웹서버에 베스천 호스트(Bastion Host) 적용해보기 (0) | 2023.01.11 |
Amazon VPC와 Public & Private Subnet 1분 요약 정리 (0) | 2023.01.09 |
AWS 프리티어 기본 메모리 1G -> 3G로 늘리는 법(프리티어 EC2 빌드 무한 로딩 해결, EC2 멈춤 해결)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