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고 얕은 네트워크 지식
서브넷(Subnet) 1분 요약 정리
팡펑퐁
2023. 2. 13. 00:35
728x90
📌 서브넷(Subnet)
- 분할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 서브넷팅(Subneting)
-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하고 식별하기 위한 값을 의미한다.
- IP 주소를 서브넷팅하면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별하기 어려운데 이때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 네트워크 ID를 1, 호스트 ID를 0으로 표현
- B 클래스의 네트워크 ID는 첫 16비트이며, 호스트 ID는 16비트이다.
- 따라서 B클래스의 서브넷 마스크는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 255.255.0.0이다.
💡 총정리 예시
서브넷마스크
- C클래스의 IP의 서브넷 마스크를 구해보자.
- C클래스의 네트워크 ID는 첫 24비트이며, 호스트 ID는 8비트이다.
- C클래스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며 prefix 표기법으로 /24이다.
서브넷팅
- 172.31.0.0/20을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눠보자.
- 172.31.0.0/20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40.0이다
- 11111111.11111111.11110000.00000000 2진수로 바꿔 살펴보자.
- 11111111.11111111.11110000.00000000
- 기존의 네트워크 ID는 빨간색이다.
- 서브넷 ID는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기 때문에 2개의 비트를 사용해야 한다.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 나머지 10개의 비트는 호스트 ID이다. 초록색으로 표시했다.
- 서브넷팅을 해보자.
- 이해를 돕기 위해 십진수와 2진수를 섞어 표현했다.
- 172.31.00000000.00000000 ~ 172.31.00000011.11111111
- 172.31.0.0 ~ 172.31.3.255
- 172.31.00000100.00000000 ~ 172.31.00000111.11111111
- 172.31.4.0 ~ 172.31.7.255
- 172.31.00001000.00000000 ~ 172.31.00001111.11111111
- 172.31.8.0 ~ 172.31.15.255
- 172.31.00001100.00000000 ~ 172.31.00001111.11111111
- 172.31.12.0 ~ 172.31.15.255
172.31.0.0/22,
172.31.4.0/22,
172.31.8.0/22,
172.31.12.0/22로 나뉠 수 있다.
💡 각각의 서브넷에는 1,024개의 IP 주소(2^10)가 포함되며, 사용 가능한 IP 주소(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주소 등 제외)는 각 서브넷 내에서 네트워크의 장치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728x90